Maya

57일차 - Nuke, Invert, Shuffle, Copy

비프로 2022. 1. 18. 13:19
728x90
반응형

- 57일차 -

 

오늘은 누크수업이 있었어요. 새로운 노드를 통해 자동차모델링의 렌더패스이미지를 합성하는 법에 대해 알아볼게요.

 

렌더패스 이미지중, 'BGimage', 'Specular', 'Diffuse', 'Shadow', 'AO', 'Refraction', 'Reflection'를 사용해서 작업해볼게요.

 

그림자이미지와 배경이미지를 순서대로 선택하고 'M'으로 'Merge'를 해줄게요.

 

다음으론 다른효과가 합성되기 위한 베이스를 만들기위해 디퓨즈를 'Merge'해줄게요.

 

그림자가 흰색으로 나오는걸 확인할 수 있는데

 

그림자이미지에 'Invert'노드를 추가해서 색상반전을 시켜줄게요.

 

'Invert'노드를 사용해서 그림자의 색상을 바꿔줬지만 배경색에도 영향을 끼치게되었어요.

 

그림자노드와 연결된 'Merge'노드의 'Operation'을 'multiply'로 적용해줄게요.

 

이후 순서대로 'AO', 'Reflection', 'Refraction', 'Specular'를 'Merge'해줄게요.

 

'AO'에는 'Operation'을 'Multiply'로,

'Reflection', 'Refraction', 'Specular'의 밝은부분을 살리기위해 'Operation'을 'Screen'으로 변경해줄게요.

 

이후 문의 색을 변경해볼건데 이전에 사용했던 'Roto'노드를 사용해 범위를 지정하고 'HueCorrect'노드를 사용할게요.

 

우선 'Roto'노드로 범위를 지정해주고

 

'HueCorrect'노드를 생성, 'mask'를 연결해주고 'HueCorrect'의 속성창에서 색상을 변경해줄게요.

 

이렇게 문의 색상을 바꿀 수 있었어요.

문제는 이런 방식이 2D에서는 수월하지만 3D로 영상을 만들 때마다 범위를 지정해주고 작업하는건 현실적으로는 불가능해요.

 

이럴때 사용하는게 'RGBmatte'이미지예요. 렌더링을 할 때 추출할 수 있는 이미지를 사용해서 작업을 해볼게요.

 

'Shuffle'노드를 추가해주고 'B화살표'를 'RGBmatte'이미지에 연결, 노드는 3번으로 'Viewer'에 연결할게요.

 

'Shuffle'노드의 속성창을 확인하면 여러 색상들이 선으로 연결되어있어요.

'Input Layer'는 'Shuffle'노드에 들어오고있는 정보(RGB정보가 노드에 들어가는),

'Viewer'로 나가는 정보가 'Output Layer'이며 노드를 중심으로 생각하면 편해요.

 

'rgba.red'인풋을 'rgba.alpha'아웃풋으로 연결하고 화면에 마우스를 올린채 'A'를 누르면

 

'RGBmatte'이미지의 빨간색으로 표시된곳에 'alpha'값이 생성돼요.

 

'Carbody'이미지는 포토샵으로 만든 이미지인데 흰색으로 만들어져 'RGB'중 어떤색이든 될 수 있어요.

 

'Copy'노드도 변환을 할 때 사용하는 노드인데 'Scatter'이미지는 빛이 굴절되어 만들어지는 이미지예요.

 

'Copy'노드의 'A화살표'를 'Scatter'에, 'B화살표'를 'Diffuse'를 연결해줄게요.

 

'Copy'노드는 'A'에 있는 정보를 'B'로 옮겨주는 노드인데 속성창을 보면 왼쪽에 있는 정보가 'A', 오른쪽에 있는 정보가 'B'예요. 왼쪽에 있는 알파정보를 오른쪽에있는 알파정보에 복사해주는 기능이에요.

 

'Diffuse'가 가지고있던 알파값을 없애고 'Scatter'가 가지고있는 알파값으로 바꿔줬어요.

'Copy'노드를 'Merge(over)'노드에 연결하면 'Diffuse'의 알파정보가 바뀌어 차량이 투명하게 보여요.

 

이번엔 'Reflection'과 'Refraction'값을 동시에 바꿔볼게요.

우선 'Reflection'에 'Grade'노드를 연결하고 'Grade'노드를 선택한 뒤 'Alt + C'로 복사가 가능해요.

 

이렇게 복사하면 노드의 숫자가 바뀌는데 전혀다른 노드를 하나 더 생성한것 뿐이에요.

 

'Alt + K'로 복사를 하면 숫자가 같은 노드가 만들어지며 노드끼리 갈색의 선으로 이어지고 'C(Clone)'이라는 아이콘이 생성되며 하나의 속성을 공유하는 복사본이에요.

복사본 'Grade'노드를 'Refraction'에 연결하고 속성을 변경해도 내용을 공유하게됩니다.

이렇게 'Clone'을 만들면 반사와 굴절을 동시에 변경할 수 있게돼요.

 

 

 

-

 

오늘은 새로운 노드를 활용해서 합성을 진행해봤어요.

배우는 노드의 갯수가 늘수록 복잡해지고 어떻게 응용해야할지는 아직 모르지만

차근차근 원리를 이해해가며 작업을 하니까 따라갈만한 것 같아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