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5일차 -
오늘은 지난 누크수업을 이어서 작업해볼거예요.
총 100프레임의 영상에서 로토노드로 손가락의 움직임을 따라서 영역설정을 하고 1프레임에선 화면의 범위를 설정해줬어요.
로토속성창에서 녹색화면의 범위를 지정해준 베지어를 '클릭 - 드래그'로 아래로 내려줄게요.
화면범위를 지정해준 4개의 점들을 선택하고 '마우스 우클릭 - planar-track this shape'를 선택,
손가락범위를 지정해준 점들을 선택하고 '마우스 우클릭 - planar-track this shape'를 선택해줄게요.
속성창에 'PlanarTrack'이 2개가 만들어지는데 아랫쪽에 있는 플래너트랙은 위에있는 플래너트랙을 계산하지 않아요.
즉, 핸드폰 액정을 계산할 때 손가락은 계산하지 않아요.
화면범위를 선택하고 상단의 재생버튼으로 계산을 진행해줄게요.
'Tracking'탭에서 'create'로 'CornerPin'노드를 생성해줄게요.
화면에 합성해줄 이미지에 'CornerPin'노드를 연결해주고 'CornerPin realative'노드에도 연결해줄게요.
'CornerPin realative'노드와 메인이미지를 머지노드로 연결해주고
이미지의 점들을 화면에 맞춰준 후 영상을 재생해서 작업이 잘 됐는지 확인해볼게요.
중간에 손가락이 화면 아래로 내려가는건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원본이미지를 복사해주고 'Keylight'노드를 생성, 'Source'화살표를 이미지에 연결해줄게요.
키라이트노드의 속성창에서 'Screen Colour'의 오른쪽 네모상자를 선택하고 스포이드로
녹색부분을 'Ctrl + 마우스 왼클릭'을 해주면
화면에서 선택한 색상이 사라지며 손가락에 비친 반사광도 사라져요.
키보드 'A'를 선택하면 알파값도 생성된걸 확인할 수 있어요. 선택한 부분 외에는 알파정보가 생겨요.
다음으로 'Copy'노드를 생성해줄건데 'A'에 들어온 정보를 'B'에 복사하겠다는 의미예요.
'A'화살표는 키라이트노드에, 'B'화살표는 원본이미지에 연결해줄게요.
카피노드에 프리멀트노드를 추가해주고 코너핀노드와 프리멀트노드를 머지노드로 연결해줄게요.
합성할 이미지에 'Reformat'노드를 생성해주고 영상을 재생하면
녹색빛이 뚫고나오는데 머지노드를 선택하고 키라이트노드를 생성 스포이드로 다시 녹색부분을 선택할게요.
녹색은 사라졌지만 배경의 테두리가 검은색으로 변하는걸 확인할 수 있어요.
키라이트노드의 속성창에서' Screen Matte'항목의 수치값을들 조절하면 해결할 수 있어요.
각 수치들을 조정했을 때 노이즈가 생기는 경우엔 로토노드로 화면에 사각형의 범위를 지정해주고 키라이트의 'OutM'을 로토노드에 연결하고
키라이트의 속성창에서 'Crops'항목의 'OutM Component'설정을 'Alpha'로 변경해주면 돼요.
하지만 그런경우 범위내에서 핸드폰에 생긴 반사들도 다 사라져버릴수도 있어요.
프리멀트노드가 완벽하지 않기때문이라 다른 노드와 플러그인을 사용해서 다음시간에 작업을 이어서 해볼게요.
-
오늘은 누크를 이용해 움직이는 영상에 이미지를 합성함과 동시에 이미지를 방해하는 요소를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어요. 다음시간이 어어서 작업을 이어나가보도록 할게요.
-
'Maya' 카테고리의 다른 글
67일차 - 마야로 털 만들기 (0) | 2022.02.07 |
---|---|
66일차 - 누크의 새로운 노드 (0) | 2022.02.04 |
64일차 - 마블러스로 후드티와 바지제작 (0) | 2022.01.28 |
63일차 - 누크의 트랙킹 (0) | 2022.01.28 |
62일차 - 누크로 영상합성 (0) | 2022.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