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ya

5-1일차 - 자동차

비프로 2021. 8. 25. 23:46
728x90
반응형

 

 

 

- 5일차 -

 

5일차부터 만들기 시작한 자동차의 도면이에요

 

마야수업이 5일차에 접어들었는데 자동차를 만든다길래 좀 놀랬어요.

저는 비교적 수업속도가 천천히 진행될 줄 알았는데 생각했던것보다 진행속도가 빠른것같아요.

한 번 놓치기 시작하면 겉잡을 수 없이 뒤쳐질 것 같아서 매일 복습을 하고있는데도 쉽지않은 것같아요.

그래도 하나씩 천천히 만들어가며 완성하는 재미가 쏠쏠하네요 :)

 

 

 

오늘은 파일을 저장하는 방법을 먼저 배웠어요.

기존에 하던 저장방법과는 달리 좀 더 체계적인 저장방법인 것 같더라구요.

'File - Project Window'에 들어가면 팝업창이 뜨는데 우측상단의 'New'버튼을 누르고 'Current Project'에 파일명을 작성하면 돼요.

다만 주의할 점은 특수기호는 사용하면 안되고 영어로 된 프로그램이기에 한글사용도 지양해야해요.

띄어쓰기도 마야에서는 특수기호로 인식하기때문에 언더바"_"를 사용하면 됩니다.

 

'Location'에는 저장경로를 설정할 수 있는데 C드라이브보다는 하드나 외장드라이브에 저장하는게 좋아요. 작업을 불러오거나 내보낼 때 필요한게 경로인데 C드라이브에 저장을 하면 컴퓨터의 이름이 들어가기때문에 작업물을 다른컴퓨터에 옮기게되면 경로를 수정해야해요. 그렇게되면 작업하기가 다소 귀찮아지니 D드라이브나 외장하드에 저장하면 좋다고해요. 만들고나서 'Accept'를 누르면 바탕화면에 지정했던 이름으로 폴더가 생겨납니다.

 

 

Car폴더가 바탕화면에 생겼어요

 

바탕화면에 생긴 폴더에 들어가면

 

많은 폴더들이 생성되어있는데 'Scenes'와 'Sourceimages' 이 두가지 폴더를 먼저 사용하게 될거에요.

'Scenes'폴더에는 마야파일이나 오브젝틀들을 모아놓는 공간이고,

'Sourceimages'폴더에는 작업을 할 때 사용될 참고파일들을 모아놓는 공간이에요.

 

'Sourceimages'폴더에 자동차를 만들때 쓰일 사진파일들을 넣고

 

'File - Set Project'에 들어가서

 

이전에 생성했던 폴더를 선택한 뒤 'Set'을 눌러 작업을 시작하면 됩니다!

 

 

'Space Bar'를 눌러 작업화면을 4분활로 바꾸고 각 화면의 상단에 보면 작은 아이콘들이 있어요.

그 중 6번째에 놓인 'Image Plane'을 선택해 기존에 있던 자동차 이미지를 각 방향에 맞는 작업화면에 불러올거에요.

 

각 방향에 맞는 이미지를 불러온 모습이에요

Y축에는 위에서 바라본 모습, Z축에는 옆에서 바라본 모습, X축에는 앞과 뒤에서 바라본 모습의 자동차이미지를 불러왔어요.

이제 이 이미지들을 그리드를 넘어서지 않는 정도까지 크기를 키울거에요.

 

 

이미지를 배치했는데 좀 이상하다...?

실제 자동차의 형태를 생각하며 각 이미지들을 위치시켰는데 좀 이상한 부분이 보여요.

위에서 본 모습과 옆에서 본 모습은 알맞게 자동차의 형태를 띄고있지만 앞부분과 뒷부분은 서로 위치가 바뀌어있어요.

그 이유는 자동차를 작업할 때 도면을 보고 작업을 해야하는데 자동차의 형태만을 생각해서 앞부분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앞에 배치하면 작업하기가 힘들어져요.

우리가 그릴 그림위에 투명한 종이를 대고 따라 그린다 생각하면 이해하기가 쉬워요.

 

좌측의 'Outliner'를 보면 각 이미지에 해당하는 파일들이 나와있어요.

더블클릭해서 작업을 편하게 할 수 있도록 이름을 바꿔줄게요.

 

이제 작업하기에 앞서 이미지들을 고정시킬거에요. 그렇지않으면 작업을 하면서 도면이 틀어질수 있기때문이죠.

 

이미지를 선택하고 화면우측에 있는 'Channel Box / Layer Editor'를 보면 하단에 'Display'라는 공간이 있어요.

4개의 아이콘 중 4번째 아이콘(사각형에 동그라미가 얹어져있는)을 선택하면 레이어가 생기는데 선택한 오브젝트를 포함한 레이어를 만드는 기능이에요.

 

 

 'V'는 화면에 보이고 안보이게 하는 기능이고

'P'의 옆에있는 빈칸을 누르면 'T', 'R'순으로 바뀌게되는데

빈칸일땐 아무것도 아니고 'T'는 선만 보이는 상태로 고정, 'R'은 면이 보이는 상태로 고정이 됩니다.

 

'R'로 바꾼 뒤에 오브젝트를 다시 선택하려면 선택이 안되는걸 확인할 수 있는데,

고정이 된 상태에서 선택이 안되도 'Ourliner'에서는 선택이 가능해요.

 

 

 

사진을 선택 후 오른쪽의 'Channel / Layer Editor''Alpha Gain'의 수치값을 조정하면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는데 지금은 '0.3'으로 낮춰서 작업을 진행할게요.

작업 중간중간마다 저장을 할 땐 앞서 만든 'Scenes'폴더가 자동으로 선택이 되는데 이름뒤에 숫자를 1씩 높여가며 붙이면서 저장을 할거에요.

그 이유는 작업도중에 기전의 파일에 덮어씌우듯 저장을 하면 파일에 문제가 생기거나 그래픽이 깨지는 경우에 이전으로 돌아가기 쉽게 백업파일을 만들기 위함이에요.

 

 

본 작업을 시작해보기 전에 그리드때문에 참고이미지가 가린다면 작업화면 상단에 있는 옵션 중 10번째에 있는 'Grid'를 선택하면 그리드가 사라집니다.

 

'Top View'에서 작업을 시작할거고 좌우대칭인 구조이기때문에 절반만 만든 후 완성을 하고난 뒤 대칭복사를 할 계획입니다!

 

 

 

-

 

자동차를 본격적으로 만들기 시작하기전에 기본적인 세팅방법에 대해 알아봤어요.

기존에 오브젝트를 만들던 방식과는 달리 'EP Curev Tool'을 이용해 뼈대를 먼저 만드는 작업을 진행할거에요.

이 방법은 실제 실무에서도 오브젝트를 만드는 방법과 동일하다니까 집중해서 수업을 듣고

뼈대를 만들기 시작하는 작업은 5-2일차에서 보여드릴게요 :)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