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야 3일차 -
오늘은 벤치를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2일차때 만든 '급수탑'보다 한층 더 난이도가 높아보입니다.
급수탑은 비교적 반듯한 모델링이었다면 3일차의 벤치는 구조는 더 단순하지만 철로 이루어진 프레임이 어려워보입니다.
특히 곡선형태의 원기둥을 어떻게 만들어야 할지 수업시작 10분동안 스스로 해볼 수 있는 시간을 갖고 이어서 곡선을 표현하는 방법을 배우게됐습니다.
총 2가지 방법을 배웠고 우선 첫번째 방법부터 알아보겠습니다.
기본적인 도형을 만들었던 'Poly Modeling'의 왼편에 있는 'Curves / Surfaces'로 'Curve'를 만들 수 있습니다.
오늘은 3번째에 있는 'EP Curve Tool'을 사용할 것입니다.
클릭과 드래그를 이용하여 Curve를 만들 수 있는데 기본적으로 평평하게 작업이 됩니다.
Z축으로도 작업을 하고 싶다면 이동 기능(W)을 이용하거나 스페이스바를 눌러 다른 시점으로 변경한 뒤 작업할 수 있습니다.
만들어둔 커브에 입체감을 만들기 위해 'Poly Modeling'항목 중 6번째에 있는 'Polygon Plane'을 생성합니다.
10x10의 Plane이 생성되었습니다.
작업의 편의를 위해 우측의 Inputs에서 'Subdivisions Width'와 'Subdivisions Height'의 수치를 수정해 1x1의 Plane으로 수정합니다.
지금부터의 과정이 중요한데 우선 전체선택(F8)을 한뒤 Plane을 선택, 이동기능(W)을 누르면 이동가능한 방향이 선택됩니다.
각 방향에 해당하는 화살표를 클릭하면 노랗게 변하는데 지금은 정중앙의 사각형을 선택합니다.
이후 Snap을 이용해 Curve와 Plane을 합쳐줄건데 지금은 2번째 있는 'Snap to Curves(C)'를 사용합니다.
단축키 'C'를 누른채로도 사용할 수 있고 위의 아이콘을 클릭해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지금부턴 이 기능을 편의상 'C Snap'이라고 부르겠습니다.
상단의 'C Snap'이 활성화된 것을 확인 후 기존에 만든 Curve에 마우스커서를 올린 후 마우스휠을 클릭합니다.
마우스휠을 클릭한채 드래그해서 Curve의 시작점으로 Plane을 이동시켰습니다.
Curve의 시작점을 확인하는 방법은 가장 끝쪽에 분홍색사각형이 있으며 나아가는 방향으로 분홍색사각형이 하나 더 있습니다. 여러개의 Curve가 겹쳐있어 구별하기 위해 2개의 사각형이 있는것으로 추정하며 Curve의 끝에는 분홍색원이 있습니다.
이후 입체감을 만들기위해 회전기능(E)을 이용해 Plane이 Curve를 바라보도록 방향을 조정했습니다. 그리고 전체선택(F8)으로 Curve를 선택한 후 Plane위에 마우스커서를 올린 후 우클릭을 누르고있습니다. 그러면 여러 항목들이 나오는데 이 중 'Face'를 선택합니다. 그렇게되면 Plane이 Curve를 바라보고 있는 면을 선택할 수 있게되는데 'Shift'를 누른채 면을 선택하여 'Curve'와 함께 선택된 상태를 만듭니다.
여기서 'Extrude(Ctrl + E)'를 사용하면 위의 형태처럼 시작점과 끝점이 Plane으로 이어지게됩니다.
위의 형태가 되지 않는다면 Plane을 Curve의 시작점에 옳게 이동시켰는지를 확인해야합니다.
자연스러운 곡선을 표현하기위해 팝업창의 'Divisions'수치를 조정했습니다.
수치를 바꾸는 방법에는 두가지가 있는데 바꾸고 싶은 수치의 이름을 클릭한 뒤 마우스휠을 클릭한채 드래그하여 수치를 바꿀 수 있으며 이 방법으로는 최대 25까지 수치가 조정이 가능합니다.
오른쪽의 숫자입력칸에 바로 숫자를 입력해도 수치값이 변하는데 이 방법으로는 25이상의 수치까지 조정이 가능합니다.
지금은 Divisions의 수치를 100으로 입력후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단축키 '4'를 이용해 중앙의 Curve를 이동시키면 그에따라 모델링도 함께 움직입니다.
여기서 특징이자 단점은 모델링의 위치를 이동시켜도 시작점은 고정이라는 점입니다.
여기서 모델링은 유지하면서 Curve만 지우고싶은 경우에 Delete를 사용하면 모델링까지 함께 삭제되는데
오브젝트를 선택한 후 상단 메뉴의 'Edit - Delete by Type - History(Alt + Shift + D)'를 적용시키면 Curve만 지울 수있습니다.
이 기능은 Inputs에서 확인할 수 있는 기록들을 지우는 방법이기에 작업이 완전히 끝났을 경우 최정적으로 사용합니다.
Q. History를 꼭 지워야하나요?
A. 작업과정들이 데이터로 쌓이게되는데 작업량이 많아질수록 데이터량도 많아져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때 시간이 오래걸립니다.
두번째 방법입니다. 우선 중앙에 긴 원기둥을 만듭니다.
원기둥에 수직방향으로 Curve를 생성할 것입니다.
작업의 정확성을 위해 스페이스바를 눌러 정면과 옆면을 확인해가며 작업합니다.
이번에는 이전과 달리 'Snap to Points(V)'를 사용해 Curve를 만듭니다.
지금부턴 이 기능을 편의상 'V Snap'이라고 부르겠습니다.
원기둥을 선택 후 점선택(F9)을 한 뒤 이전에 사용했던 'EP Curve Tool'을 이용해 상단의 정 중앙에 시작점을 찍습니다.
이후 수직으로 내려 바닥의 정 중앙에 끝점을 찍습니다.
Z축에선 정 중앙에 Curve를 만들었지만 X축에서 바라보면 왼편으로 치우쳐져있습니다.
Curve를 선택해 X축에서 바라봤을때도 정 중앙에 오도록 위치시켜 Curve를 원기둥의 정중앙으로 이동시킵니다.
X축에서 Curve를 이동시키기 위해 선택을 하려면 원기둥에 겹쳐 선택하기 힘든데 마우스 우클릭 후 'Control Vertex'를 이용하면 Curve선택에 유용합니다.
원기둥과 Curve를 합치기전에 원기둥에는 선의 갯수를 Curve에는 점의 갯수를 늘려줍니다.
이후 구부렸을때 자연스러운 곡선을 만들기위함입니다.
상단 메뉴의 'Mesh Tools - Insert Edge Loop'의 오른편에 작은 상자가 있습니다.
상자를 클릭하면 'Tool Settings'가 나타나는데 여기서 'Number of dege loops'의 수치를 조정해 선의갯수를 정합니다.
원기둥의 크기가 비교적 큰 편이기에 여기서는 수치를 50으로 조정했습니다.
이후 원기둥의 선을 선택해 새로운 선을 추가합니다.
상단메뉴의 'Curves - Rebuild'의 오른편에 있는 상자를 선택하면 마찬가지로 옵션창이 나옵니다.
여기서 'Number of spans'에 수치를 입력해 점의 갯수를 정할 수 있습니다.
특징은 입력한 수치에 3을 더한만큼의 갯수가 총 점의 갯수가 되는데,
그 이유는 Curve를 생성했을 때 시작점에 만들어지는 점 2개와 끝점에 만들어지는 점 1개가 포함되기때문입니다.
이후 'Apply'를 선택해 적용합니다. 여기서는 수치를 17로 조정했습니다.
상단메뉴의 'Deform - Wire'를 선택해 원기둥과 Curve를 합쳐줍니다. 여기서 Wire를 선택하면,
프로그램 하단에 위와같은 문장이 입력되는데 '모양을 선택 후 엔터를 누르시오'라는 명령이 입력됩니다.
이 메세지를 확인후 원기둥을 선택하고 엔터를 누르게되면,
프로그램 하단에 위와같은 문장이 입력되는데 '와이어커브를 선택 후 엔터를 눌러 마무리 하십시오'라는 명령이 입력됩니다.
이 메세지를 확인 후 Curve를 선택하고 엔터를 누릅니다.
이후 모델링을 선택하면 'Inputs'항목에 'Wire'라는 새로운 항목이 생성됐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중 'Dropoff Distance'의 수치를 변경하는데 수치가 높을수록 원기둥이 Curve에 더 가까워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수치를 10으로 조정했습니다.
-
3일차에는 곡선의 모델링을 하는방법을 배웠습니다. 오늘 배운 기능들을 이해하고 숙달시킨다면 앞으로 진행하게될 모든 모델링에 응용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위의 두가지 방법의 차이점은 형태와 모양을 만드는 순서의 차이입니다.
첫번째 방법은 기초형태를 잡은 뒤 모양을 만드는 방법이고
두번째 방법은 모양을 먼저 만든 뒤 형태를 잡는 방법입니다.
두가지 방법을 모두 익혀 상황에 맞는 방법을 선택해 적용하면 될 것 같습니다.
-
'Maya' 카테고리의 다른 글
5-2일차 - 자동차 (0) | 2021.08.30 |
---|---|
5-1일차 - 자동차 (0) | 2021.08.25 |
4일차 - 벤치완성(구멍, 깊이감 표현) (0) | 2021.08.23 |
2일차 - 컵만들기(디테일), 손잡이만들기 (0) | 2021.08.18 |
1일차 - 컵만들기 (0) | 2021.08.16 |